[중국] 유제품 시장 내 수급 전환점 기대
조회1903관련 데이터에 따르면, 2024년 초 내몽골, 허베이, 닝샤, 산둥, 간쑤 등 중국 10대 주요 생산 지역의 젖소 사육두수는 550만 마리로 전년대비 감소했으며, 3분기에는 사육 두수가 513만 마리로 연초 대비 감소하였다. 이는 업계의 단위 면적당 생산량 증가를 가져왔고, 연간 원유 생산량 감소폭은 젖소 감소폭보다 낮았다. 중국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2024년 중국 원유 생산량은 전년 동기 대비 2.8% 감소했으며, 그중 2024년 4분기는 전년 동기 대비 9.0% 감소했다.
2024년 12월 중순, 주요 생산 지역의 대용량 우유 가격이 한때 킬로그램당 3위안의 고점까지 올랐으나, 소비 부진으로 인해 킬로그램당 2.3위안으로 빠르게 하락하여 시장의 극심한 변동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중국 농업농촌부가 발표한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 1월 셋째 주에 내몽골, 허베이 등 10개 주요 생산 지역의 원유 평균 가격은 3.11위안/kg으로 전주 대비 0.3% 하락했고, 전년 동기 대비 14.8% 하락했다. 이에 따라, 목장 운영자들은 미래에 대한 불확실성이 심화되고 있으며, 많은 사람들이 현금흐름에 의존하여 운영하고 있어서 시세가 하락하면 파산 위험에 직면하게 될 것이다.
수요 측면에서도 타격을 크게 받았다. 닐슨의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유제품의 전 채널 판매액은 전년 대비 1.4% 감소했으며, 오프라인 채널의 판매액은 10.9% 감소했다. 또한, 유제품 경제 월간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1월부터 11월까지 유제품 생산량이 전년 동기 대비 2.4% 감소하여 업계 수요 또한 압박을 받고 있었다.
유제품 선두 기업들은 원유 과잉의 압력을 감당하고 있다. 수요가 안정적이고 규모화하기 쉬운 B2B 시장은 업계의 안정적인 주기와 안정적인 성장에 대한 기대를 담고 있다. 2024년에 유제품 기업들은 시장을 개척하는 속도가 눈에 띄게 빨라졌다. 유제품 대표 브랜드인 이리(伊利)는 외식, 베이커리, 차음료 등 폭넓은 시장에서의 제품 배치를 가속화하고 있으며, B단 사업을 확장하기 위해 별도의 B단 사업 체계를 구축하는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멍뉴(蒙牛) 또한 B단용 전문 유제품을 외식, 커피, 차 음료, 베이커리 등 여러 분야에 포괄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유제품 기업들은 2025년 춘절 전의 재고 준비 전략이 상대적으로 신중해졌다. 비록 생산자들이 명절 분위기를 이용해 판매를 촉진하기를 원하지만, 최종 시장 수요의 회복은 기대에 미치지 못하는 것 같다.
통계에 따르면, 현재 두 선두 기업인 이리(伊利)와 멍뉴(蒙牛)의 대표 제품 대부분 생산 기간은 2개월이며, 주요 제품의 재고는 대부분 합리적으로 통제 가능한 수준에 있다. 동시에 춘절 연휴 기간 주요 제품의 할인은 작년 동기 비해 감소했으며, 간판 제품 가격은 여전히 견고하다.
전문 기관들은 업계의 불확실성이 춘절 이후 비수기에 더욱 심화될 수 있다고 예측했다. 목축업의 경우, 대규모 정화 작업이 임박함에 따라 앞으로 몇 달이 중요한 시기가 될 것이다. 업계 관계자들은 2024년 업계의 적자 폭이 이미 80%를 넘어섰으며, 목장의 현금 흐름 압박이 점점 더 심해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만약 대용량 우유 가격이 계속 하락하고 업계 전체의 공급 과잉이 지속된다면, 업계는 또 다른 빠른 청산을 맞이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의 경제 환경을 고려할 때, 분석가들은 상무부가 2024년 12월 27일부터 수입 쇠고기에 대한 조사를 시작했으며, 수입 저가 쇠고기가 중국산 쇠고기에 미치는 충격이 약화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한다. 이는 쇠고기 가격의 안정과 회복을 촉진할 수 있으며, 축산업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2025년에는 젖소 사육 두수가 620만 마리에서 590만-600만 마리로 감소할 것으로 기대되며, 2025년 하반기에는 산업의 수급 균형이 전환점을 맞이할 수 있다.
문의 : 상하이지사 정하패(penny0206@at.or.kr)
'[중국] 유제품 시장 내 수급 전환점 기대'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