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이지리아] 식음료 유통 시장 현황
조회1261■ 주요내용
▷나이지리아 개요
나이지리아는 최근 아프리카 최대 경제국으로 부상하며 시장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2024년 기준 나이지리아의 GDP는 약 5,000억 달러로, 석유 및 천연가스를 중심으로 한 경제 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그러나 나이지리아 정부는 점진적으로 석유 의존도를 낮추고 제조업, IT, 농업 등 다양한 산업으로 경제 구조를 다변화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현재 나이지리아의 인구는 약 2억 2,300만 명에 달하며, 2050년까지 세계 3위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도시화가 빠르게 진행되면서 소비 시장도 더욱 확대될 전망이다. 주요 도시는 경제 중심지인 라고스, 행정 수도인 아부자, 북부의 주요 무역 중심지인 카노 등으로 꼽힌다. 나이지라아는 최근 핀테크와 전자상거래 산업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디지털 경제가 활성화되고 있으며, Jumia와 같은 온라인 플랫폼이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하지만 급격한 경제 성장 속에서도 보코하람의 활동으로 인한 북동부 지역의 치안 불안정과 인프라 부족 문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다.
▷전통과 현대가 공존하는 나이지리아 식음료 유통 시장
나이지리아의 식음료 소매 유통 채널은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오랜 기간 전통적인 시장 구조가 유지되어 왔으나, 최근 도시화와 경제 성장에 따라 현대적인 유통망이 확장되고 있다. 특히, 대형 슈퍼마켓 체인과 전자상거래의 발전이 기존의 오픈 마켓과 소규모 상점들의 시장 점유율을 위협하며 유통 환경을 재편하는 모습이다.
나이지리아에서는 여전히 오픈 마켓과 소규모 상점들이 식음료 유통의 핵심적인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대형 도매 시장과 지역별 소규모 판매점은 나이지리아 국민들이 가장 선호하는 식료품 구매 방식으로 자리 잡고 있으며, 특히 농산물, 육류, 생선 등의 신선식품 구매는 전통 시장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오픈 마켓은 전국적으로 운영되는 전통 시장으로, 소비자들은 신선한 농산물과 일상적인 식료품을 구매할 수 있다. 대규모 오픈 마켓은 공급망의 중요한 역할을 하며, 현지 농민들이 직접 상품을 판매하는 경우가 많다.
▷현대적인 유통 채널의 급성장
경제 발전과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현대적인 유통채널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대형 슈퍼마켓 체인과 편의점,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시장에서 점점 더 큰 비중을 차지하며, 소비자들의 쇼핑 방식에도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슈퍼마켓 및 하이퍼마켓 체인:
Shoprite Nigeria: 남아프리카공화국 기반의 대형 슈퍼마켓 체인으로, 다양한 식료품과 생활용품을 판매하며 나이지리아 전역에서 운영 중이다.
SPAR Nigeria: 네덜란드 기반의 글로벌 슈퍼마켓 체인으로, 신선식품과 가공식품을 중심으로 다양한 상품을 취급한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Jumia Food: 온라인 식료품 및 음식 배달 서비스를 제공하는 대표적인 플랫폼으로, 다양한 레스토랑 및 슈퍼마켓과 제휴하고 있다.
Konga: 전자상거래 플랫폼으로, 식음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상품을 온라인으로 판매하며 빠르게 성장 중이다.
<주요 유통 채널> |
|||||||||||||||||||||||||||||||||||||||||||||||||||||||||
|
▷나이지리아 유통 시장의 변화 요인
나이지리아는 도시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면서, 보다 편리하고 현대적인 쇼핑 환경을 원하는 소비자들이 늘어나고 있다. 글로벌 체인 인터넷과 스마트폰 보급이 확산되면서 온라인 쇼핑과 음식 배달 서비스가 빠르게 성장하고 있다. 온라인과 오프라인 식품 시장 확대로 인해 글로벌 유통업체들이 나이지리아 시장에 진출하면서, 경쟁이 치열해지고 서비스 품질이 향상되고 있는 상황이다.
■ 시사점
나이지리아의 식음료 유통 시장은 전통 시장과 현대적 유통 채널이 공존하는 형태로 발전할 것으로 보인다. 여전히 오픈마켓과 소형 매장이 중요한 역할을 하겠지만, 대형 유통업체와 전자상거래 플랫폼이 시장 점유율을 확대하며 전체적인 유통 구조가 변화할 가능성이 크다.
나이지리아의 소비자들은 점점 더 빠르고 편리한 쇼핑을 추구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유통업체들은 온라인 및 오프라인 서비스를 동시에 이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또한, 물류 인프라 개선과 금융 서비스 확대가 이루어질 경우 전자상거래 시장은 더욱 활성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러한 변화 속에서 나이지리아 시장 진출을 계획하는 한국 식품 기업들은 현지 유통 구조에 맞춰 철저한 시장 분석이 필요하다. 특히, 대형 유통 매장뿐만 아니라 소규모 및 중규모 전통 시장별 맞춤 전략을 통해 시장 진입을 위한 준비를 해야 할 것이다.
■ 출처
ISN Magazine
https://internationalsupermarketnews.com/archives/15619
Business Day
https://businessday.ng/news/article/what-shoprite-exit-means-for-novare-retail-business-in-nigeria/
Statista
https://www.statista.com/statistics/1122955/forecast-population-in-nigeria/
문의 : 두바이지사 권혁우(harrykwon@at.or.kr)
'[나이지리아] 식음료 유통 시장 현황'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