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떠오르는 대세, 과일 비스킷 산업
조회968웰빙 식품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과일 비스킷은 점차 시장에서 인기 있는 스낵 중 하나가 되었다. 베이징박연지상정보자문유한공사(北京博研智尚信息咨询有限公司)는 최근 ‘중국 과일 비스킷 산업의 시장 규모 및 미래 투자 방향에 대한 연구 보고서(中国水果饼干行业市场规模及未来投资方向研究报告)’(이하 ‘보고서’라 함)을 발표했으며, 보고서는 시장 환경의 변화와 기술 발전의 지원으로 과일 비스킷 산업이 시장 점유율을 계속 확대할 것으로 분석했다.
▲ 과일 비스킷 산업, 고속 발전 중
과일 비스킷은 신선한 과일 또는 과일 제품을 주요 풍미 공급원으로 하는 베이커리 제품이다. 과일 비스킷은 전통 비스킷을 기반으로 말린 과일, 과일 분말, 농축 과일 주스 등 천연 과일 성분을 첨가하여 바삭한 맛을 유지할 뿐만 아니라 과일 향이 강하고 자연스러운 단맛을 가지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과일 비스킷 시장 규모는 약 385억 위안(약 7.7조 원)으로 전년 대비 7.6% 증가했다. 2025년에는 과일 비스킷 시장 규모가 더욱 확대되어 550억 위안(약 11조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이는 중국 국민의 소득 수준이 지속적으로 향상됨에 따라 고품질 스낵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계속 증가하고, 젊은 소비자가 개인화되고 다양한 선택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기 때문이다. 가공기술 혁신은 더 많은 천연 성분을 추가하고 저당 배합을 개발하는 등 제품의 업그레이드를 촉진하여 더 많은 건강 의식이 강한 소비자를 유치할 수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일 비스킷 산업은 고속 발전 단계에 있으며, 시장 규모가 점진적으로 확대되고 소비 수요가 점점 다양해지고 시장 경쟁 구도가 다극화 발전 추세를 보인다. 기술 발전과 소비 업그레이드에 따라 미래 산업은 건강하고 개성 있는 방향으로 발전할 것으로 판단된다.
▲ 건강 소비에 대한 수요, 나날이 증가 중
저당 및 고섬유질 과일 비스킷에 대한 소비자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구매 결정시 60% 이상의 소비자는 제품의 성분표를 우선적으로 고려한다. 특히, 천연 과일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지 여부와 건강에 더 도움이 되는 생산 공정을 채택하고 있는지 여부를 고려한다. 이에 과일 비스킷의 혁신할 수 있는 영역은 매우 크다고 판단된다. 관련 기업은 새로운 과일 맛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생산 공정을 개선하여 더 많은 소비자를 유치하고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수 있다.
소비자 그룹을 보면, 젊은 소비자(18-35세)는 과일 비스킷 시장 성장의 주요 원동력이며, 이들은 제품의 맛, 포장 디자인 및 브랜드 스토리에 더 많은 관심을 기울이고 고품질 제품에 더 높은 가격을 지불할 의향이 있다. 어린이도 중요한 소비자 그룹이며 부모는 과일 비스킷을 선택할 때 브랜드 인지도와 안전성을 우선시한다.
유통채널의 관점에서 온라인 채널은 과일 비스킷 판매의 중요한 부분이 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과일 비스킷의 온라인 채널 판매 비중이 45%에 달했으며, 전년 대비 5% 증가했다. 온라인 측면에서 타오바오, 징둥 등 전자상거래 플랫폼은 소비자들이 과일 비스킷을 구매하는 주요 플랫폼 중 하나가 되었으며, 동시에 라이브 커머스, 소셜 전자상거래(샤오홍슈(小红书), 도우인(抖音)) 등의 형태도 과일 비스킷의 온라인 판매를 촉진하여 더 많은 젊은 소비자들이 편리하고 빠르게 제품을 구매할 수 있게 되었다. 반면, 오프라인 측면에서 일반 마트와 편의점은 여전히 중요한 판매 채널이지만, 그 점유율은 점차 온라인 채널로 인해 압박받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일부 브랜드는 편의점, 프리미엄 마트와 협력하여 맞춤형 마케팅 활동을 추진하여 제품의 노출도와 판매량을 높이는 등 오프라인 채널도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있다.
▲ 품질, 과일 비스킷의 핵심 경쟁력
현재 중국 과일 비스킷 시장은 경쟁이 치열하며, 주요 참여 기업으로는 싼즈송슈(三只松鼠), 바이차오웨이(百草味), 량핀푸쯔(良品铺子) 등이 있다. 싼즈송슈(三只松鼠)는 혁신적인 마케팅 전략과 다양한 제품 조합으로 시장 점유율의 22%를 차지했으며, 그 뒤를 이어 바이차오웨이(百草味)는 강력한 공급망 관리와 우수한 고객 서비스 제공으로 19%의 시장 점유율을 차지했다. 량핀푸쯔(良品铺子)는 제품 구조와 고객 서비스를 지속적으로 고객 맞춤형으로 최적화하여 시장 점유율이 17%에 달했다.
이외에 새로운 브랜드도 두각을 나타내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25년에 과일 비스킷 시장의 경쟁이 더욱 치열해질 것으로 예상되며, 주요 기업들이 새로운 자극을 받을 수 있다. 새로운 브랜드가 지속적으로 특색을 유지하면서 채널을 확장한다면 시장 점유율을 더욱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시장 경쟁이 심화됨에 따라 기업은 지속적으로 혁신하고 고객 맞춤형 최적화 방안을 강구해야 한다. 과일 비스킷 산업에서 기업은 제품 품질을 지속적으로 최적화하고 기술 혁신을 촉진하여 시장에서 상당한 우위를 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오리온은 기술 혁신 측면에서 대량의 연구개발 자원을 투입하여 소비자의 요구에 부합하는 새로운 맛의 제품을 더 많이 출시할 수 있었다. 또한, 기술 혁신은 네슬레가 경쟁력을 유지하는 핵심 요소 중 하나이며, 특히 환경 보호 포장재의 연구 개발에서 중요한 돌파구를 마련하여 생분해성 포장 용기를 출시하고 플라스틱 폐기물의 발생을 줄였다.
시사점
지속적인 기술 혁신 투자를 통해 과일 비스킷 산업이 점차 품질을 핵심 경쟁력으로 하는 발전 모델을 구축하고 있으며, 소비자의 점점 다양해지는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한 견고한 기초를 마련하고 있다.
마케팅 전략 측면에서 젊은 소비층을 끌어들이기 위해 기업은 브랜드 이미지 구축을 계속해서 강화하고 기업만의 독특한 브랜드 문화를 구축해야 한다. 채널 확장에 있어서 비록 온라인 채널이 빠르게 발전하고 있지만, 오프라인 채널은 여전히 간과할 수 없다. 중소 브랜드의 경우 다른 브랜드와 협력, 적극적인 온라인 마케팅 등을 통해 대형유통매장에 진입하여 시장 인지도와 점유율을 높일 수 있다
문의 : 상하이지사 정하패(penny0206@at.or.kr)
'[중국] 떠오르는 대세, 과일 비스킷 산업'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