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향후 10년간 중국 유제품 시장 긍정적 발전 전망
조회1278향후 10년간 중국 유제품 시장 긍정적 발전 전망
최근 베이징에서 열린 농업전망대회에서 <중국농업전망보고(2025-2034>(이하 보고서)가 공개되었다. 이 보고서는 향후 10년간 중국 농산물 시장의 수급 상황에 대해 예측을 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향후 10년간 중국 유제품 생산량은 성장세를 유지할 것이며, 유제품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전망이다. 유제품 수입은 감소세에서 반등할 것이며, 생우유 가격은 안정세를 찾은 후 상승할 것으로 예측했다.
유제품은 중국 국민 식단에서 점차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으며, 식품 소비에서 유제품 소비 비중이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소비수요 증가와 생산 수준 향상으로 인해 유제품 생산량은 상승 추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최근 몇 년간 소비 부진으로 인해 중국 축산업계에 대규모 적자가 발생했으며, 유제품 산업은 원유 공급 과잉이라는 어려움에 직면했다. 보고서는 향후 10년 동안 중국 유제품 생산능력은 지속적으로 개선할 것이며 젖소 사육비용은 더욱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특히 중국 소비자들의 유제품 인식 개선과 영양 건강에 대한 관심 증대로 유제품 소비는 여전히 성장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어, 젖소 사육 적자 상황이 완화되고 유제품 기초 생산능력이 개선될 것으로 보인다.
1. 2024년 중국 유제품 시장 리뷰
2024년에는 중국 유제품 산업이 조정기에 진입하며 유제품의 생산량·소비량·수입량이 모두 일정 수준 감소했고 생우유 평균 구매가격은 지속적으로 낮은 가격을 유지했다. 구체적인 현황은 다음과 같다
① 중국 젖소사육 감소, 유제품 생산량 하락
중국 2024년 젖소 사육두수는 1천만 두 이상으로 유제품 총생산량은 전년 대비 2.8% 감소한 4,163만 톤을 기록했다. 이 중 유유 생산량은 4,079만 톤으로 전년 대비 118만 톤 감소했다.
② 유제품 소비량 소폭 감소, 소비 성장 동력 부족
2024년 중국 소비자의 유제품 소비량은 5,691만 톤으로 전년 대비 2.5% 감소했으며, 1인당 유제품 소비량은 35.9kg으로 전년 대비 0.9kg 감소했다. 중국 국가통계국 자료에 따르면 연간 유제품 가공량은 2,962만 톤으로 전년 대비 1.9% 감소했다.
③ 수입량 지속적 감소, 가공제품 일부 증가
중국 해관총서 통계에 따르면 2024년 연간 유제품 수입량은 261.5만 톤으로 전년 대비 9.0% 감소했으며, 수입액은 112.3억 달러로 7.0% 하락했다. 수입 유제품을 생우유로 환산한 양은 1,587만 톤으로 전년대비 7.6% 감소한 수준이다. 수입 제품 중 가장 많은 수입량을 차지한 대용량 분유는 전년 대비 17.5% 감소한 반면, 단백질제품·연유 등 가공제품의 수입량은 일정 부분 증가했다.
④ 생우유 구매가격 지속적 하락, 유제품 소매가 전반적 하향세
중국 생우유 구매가격은 지속적으로 하락하였고, 2024년 주요 생산지역 연간 평균 구매가격은 kg당 3.32위안(한화 약 664원)으로 전년 대비 13.5% 하락했다. 중국 생우유 가격이 저가 수준을 유지했음에도 불구하고 유제품 기업의 가격정책 영향으로 신선우유 최종 소매가격 하락폭은 제한적이었다.
2. 2025년 중국 유제품 시장 전망
중국 유제품 산업 경쟁력 강화 조치가 본격 시행되며 중국 유제품 산업의 고품질 발전을 위한 기반을 마련할 전망이다. 중국 경제사회 발전과 소비자 건강 인식 향상에 힘입어 유제품 소비 수요는 확대할 것이며 공급능력도 안정적으로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① 유제품 생산량 성장세 전환
향후 10년간 중국 유제품 생산능력 최적화, 규모화 사육비중 증가, 젖소 사육 구조개선 및 두당 평균 생산성 향상 등으로 유제품 공급능력이 꾸준히 향상될 것으로 전망된다. 2025년 유제품 생산량은 4,100만 톤으로 전년 대비 1.5%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2029년에는 4,682만 톤에 달해 기준기간 연평균 2.4%의 성장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된다.
② 유제품 소비 수요 증가
향후 10년간 중국 소비자의 유제품 섭취 인식 개선과 영양건강 의식 강화로 장기적으로 유제품 소비 성장 여지가 남아있다. 2025년 유제품 소비량은 5,506만 톤으로 전년 대비 3.3%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2029년에는 6,354만 톤으로 기준기간 대비 연평균 1.8% 성장률을, 1인당 유제품 소비량은 40.7kg으로 연평균 2.1%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2034년에는 소비량이 7,581만 톤에 달해 기준기간 대비 연평균 2.7% 성장률을, 1인당 소비량은 49.2kg으로 연평균 3.0% 증가율을 보일 것으로 예측된다.
③ 유제품 수입 감소세 반등
보고서는 향후 10년간 유제품 소비량의 지속적 성장에 따라 중국 유제품 공급 부족 현상이 나타날 수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에 따라 유제품 수입은 소폭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2025년 유제품 수입량(생우유 환산)은 1,452만 톤으로 전년 대비 8.5% 감소하겠으나, 2029년 1,539만 톤, 2034년 2,007만 톤으로 연평균 1.4% 성장률을 기록할 전망이다. 이는 과거 10년간 연평균 3.7% 성장률에 비해 낮은 수치다.
중장기적으로 중국 소비자의 유제품 수요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이며 수급차이는 장기적으로 존재할 전망이다. 이에 따라 생우유 가격은 소폭 상승할 것으로 보이며, 젖소 사육비용 절감과 효율성 제고가 지속적으로 추진된다면 중국 축산업계의 적자 상황이 완화할 것으로 기대된다.
출처: https://www.cnfood.cn/article?id=1917035773678424065
문의 : 베이징지사 박원백(beijingat@at.or.kr)
'[중국] 향후 10년간 중국 유제품 시장 긍정적 발전 전망'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