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05.19 2025

[일본] 2025년 건강식품 시장 트렌드

조회3210

[지구촌 리포트]

일본 건강식품 시장은 고령화 사회 진입과 건강 지향 소비 확대로 규모가 크지만, 최근에는 다소 조정 국면에 있다. 시장 조사 기관 야노경제연구소에 따르면 2023년 일본 건강식품 시장 규모(제조업체 출하액 기준)는 약 9,050억 2천만 엔이었고, 2024년도는 전년 대비 1.2% 감소한 약 8,945억 1천만 엔으로 추정된다.

  반면 기능성 표시 식품 시장은 견조한 성장세를 이어가 2023회계연도에 약 6,813억 1,000만 엔을 기록했으며, 2024년에는 전년 대비 6.4% 증가한 약 7,251억 2,000만 엔으로 추산된다.
external_image

이처럼 건강식품 전체 시장은 코로나 이후 대규모 성장기에서 약보합으로 전환했으나, 고령화와 웰빙 열풍으로 건강관리 관련 수요는 꾸준히 늘어나고 있다.


▶ 장 건강 트렌드 및 기능성 표시 식품 동향

  일본에서는 ‘腸活(장활 : 장 건강 개선 활동)’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다. 식품외식정보 기업인 ㈜구루나비(株式会社ぐるなび)에서 2025년 3월에 1,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장 건강 개선활동을 이미 하고 있거나 앞으로 하고싶다고 관심을 보인 응답비율은 71.7%에 달했다.
external_image
또한, 장(또는 일반) 건강을 위하여 의식적으로 섭취하고 있는 발효식품에 대해서는, 요구르트(55.2%), 낫토(49.2%), 된장(28.8%), 유산균음료(28.1%), 치즈(27.6%), 김치(26.6%) 순으로 응답했다.
external_image

이처럼 일상적인 식단에서 장내 환경을 개선하려는 움직임이 늘어나고 있으며, 관련하여 후생노동성에서도 「일본인의 식사섭취기준(2025년판)」에서 1일 식이섬유 권장량을 기존 24g에서 25g으로 변경하였다. 하지만 실제 1일 평균섭취량의 중간값은 13.3g으로 많은 일본인들이 식이섬유 섭취 부족을 겪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들은 식이섬유를 강화한 제품을 속속 선보이고 있다. 예를 들어 ‘닛폰햄’ 그룹의 ‘일본루나’社는 2025년 3월 유산균 음료 ‘장활습관 치어풀(腸活習慣 チアフル)’을 발매했는데, 이 제품은 이눌린(식이섬유)과 GABA를 함유해 ‘장내 환경 개선’ 기능을 표방한다.

  또한 기능성 표시 식품 시장의 확대로 일상식품에도 건강 기능성이 강조되고 있다. 건강 기능식품 전문 기업 Lanabelle은 2025년 봄철 ‘장활습관(腸活習慣)’을 테마로 한 젤리형 기능성 표시 식품 ‘라나클레르 젤리(ラナクレールジュレ)’를 출시했다. 이 제품에는 장 환경 개선 효과와 다이어트 지원 성분이 포함되어 면역력 강화와 체중 관리에도 도움이 된다고 홍보하고 있다.


▶ 건강 디저트 트렌드

  건강에 대한 관심 고조에 따라, 디저트 제품에도 저칼로리, 고영양지향 상품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슈퍼푸드로 분류되는 아사이, 그릭요거트 등을 활용한 디저트가 주목받고 있다. 예를 들어 ‘니케이트렌디’가 뽑은 ‘2024년 히트상품 베스트30’에서 아사이볼(Acai Bowl)이 23위를 차지했고, 아사이 전문 업체 ‘프룻타프룻타(Frutafruta)’의 냉동 믹스 “집에서 아사이볼®(お家でアサイーボウル®)”은 2023년 10월 대비 2024년 9월 출하량이 921% 급증했다. 다양한 색으로 보기에도 다채로운 그릭요거트와 아사이볼은 SNS에서도 젊은 층에서 인기를 끌고 있다.

  기업 대응도 활발하다. 세븐앤아이홀딩스는 ‘세븐프리미엄 두부 스위츠바(セブンプレミアム 豆腐スイーツバー)’ 시리즈를 판매하고 있는데, 2024년 3월 출시 이래 2025년 3월 말까지 누적 판매 1,300만 개를 돌파했다. 이 제품은 대두 유래 단백질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으면서도 스위트바의 식감과 맛을 살린 점이 소비자에게 호평을 받았다. 2025년 4월에는 봄철 신상품으로 ‘딸기 소이라떼 맛’이 추가로 출시되어 딸기 특유의 상큼함과 두부의 부드러움을 결합한 맛으로 인기를 모으고 있다.

  미즈칸홀딩스 산하 ZENB Japan은 2025년 1월 채소를 통째로 사용하고 견과류를 넣은 건강 스위트바 ‘ZENB 바통(ZENBバトン)’을 발매했다. 이 제품은 야채의 심(옥수수 심 등) 및 껍질까지 그대로 사용하고 아몬드·대두를 첨가한, 글루텐프리 및 무가당 식품이다. 실제 이 제품의 1개당 당분은 10g 미만으로 일반 디저트보다 약 30% 낮다. 이러한 신제품들은 낮은 당분, 글루텐프리를 강조하여 다이어트 중이나 당 섭취를 의식하는 소비자층을 겨냥하고 있다.


▶ 고단백 식품 수요 및 상품 확대

  일본에서는 건강·피트니스 열풍에 힘입어 고단백 식품의 수요가 크게 늘고 있으며, 이에 발맞춘 신상품 개발도 활발하다. 후지경제의 「프로틴 등 단백질보급식품시장 조사」 보고서에 따르면, 단백질보급식품의 일본 국내시장규모는 2023년 2,687억엔에서 2024년 2,768엔으로 약 2.8% 성장했으며, 이러한 성장 추이는 과거 10년간 꾸준히 계속되고 있다.

external_image
단백질 붐은 2015년 각종 미디어에서 단백질 보충의 중요성을 알리면서 시작되었는데, 2021년까지 매년 10% 내외의 고성장을 보인 단백질 시장은 이후 성장세는 줄었으나 꾸준한 성장을 지속해오고 있다. 특히 단백질 보충식품은 지금까지는 근력 증강에의 보조역할로 여겨져, 성별 소비여부 조사결과 여성의 소비는 30%에 불과했으나, 최근 미용과 관련된 단백질 보충 식품이 증가하면서 여성 대상 마케팅이 시장 확대의 열쇠라고 평가받고 있다.

  일상식에서 단백질을 보충하려는 소비자가 늘어나면서, 기업들은 유제품이나 음료뿐 아니라 간편식·스낵 형태의 고단백 제품을 출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일본루나(Nippon Luna)’는 스키르(아이슬란드식 요거트)에 신맛과 달콤함을 가미한 고단백 요거트 2종을 2025년 3월에 출시했다. 

  주식회사 울토라(株式会社ULTORA)는 다이어트·뷰티 보조제로서, 2025년 1월 패션 아이콘 ‘후지타 니콜(藤田ニコル)’과 협업한 디저트 풍 프로틴 쉐이크(‘SWEETS PROTEIN SHAKE チャイティー風味’)를 출시하여, 달콤함을 추구하면서도 고단백을 실현하였다는 점을 어필했다.

  이처럼 식품업계는 소비자가 일상 간식이나 식사 대용으로 고단백을 손쉽게 섭취할 수 있는 제품 개발에 주력하고 있다.

시사점

  2025년 일본 건강식품 시장은 인구 구조 변화와 건강 트렌드에 대응하여 제품 구색이 더욱 다양화되고 있다. 유산균·식이섬유 제품이나 저당·글루텐프리 디저트, 고단백 간편식 등 소비자의 다양한 니즈를 겨냥한 신상품이 속속 등장하고 있다. 특히 젊은 층 중심으로 SNS를 활용한 화려한 비주얼 마케팅이 중요해지고 있어, 기업들은 제품 개발뿐 아니라 홍보 전략에도 창의성을 발휘하고 있다.

  야노경제연구소는 ‘붉은 누룩(紅麴:홍국) 이슈*’로 2024년 건강식품 시장 성장률이 둔화됐지만, 2029년까지는 완만한 회복기를 거쳐 시장 규모가 9조 엔을 넘어설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건강식품 시장은 여전히 거대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으며, 한국의 기업들도 김치, 인삼을 비롯한 각종 발효식품 등 건강식품의 장점을 내새워 차별화된 시장 공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붉은 누룩(紅麴:홍국) 이슈(2024년) : ‘고바야시제약’에서 제조한 붉은 누룩 성분의 건강보조제를 섭취한 소비자 다수가 사망한 사건, 일본 정부는 관련 제품을 전량 회수하고 조사한 결과 붉은 누룩 자체가 아니라 제조과정에서 화학작용으로 생성된 푸베룰린산이 원인이라고 발표

자료 출처

https://diamond-rm.net/sales-promotion/item-trend/509845/

https://www.mintel.com/jp/press-centre/2025-global-bpc-trends-press-release/

https://news.nissyoku.co.jp/special/1057522#

https://prtimes.jp/main/html/rd/p/000004617.000007505.html

https://s.mxtv.jp/tokyomxplus/mx/article/202504170650/detail/#:~:text=Image

https://news.nissyoku.co.jp/news/fujimura20240718113816392

https://www.fuji-keizai.co.jp/press/detail.html?cid=24084

https://www.nipponham.co.jp/news/2025/20250307/

https://corporate.gnavi.co.jp/release/2025/b83wvzavuj/

https://pinzuba.news/articles/-/9665?page=1

https://foods-route.jp/content/sweets-trend-2025

https://global-nutrition.co.jp/blog/2025-04-21/

https://womanslabo.com/market-240924-1#



문의 : 도쿄지사 신연호(syh1912@at.or.kr)

'[일본] 2025년 건강식품 시장 트렌드'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일본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