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UAE 쇠고기 수입 현황 및 한국산 한우 진출 동향
조회1014[지구촌 리포트]
▶ UAE 쇠고기 수입 현황 및 주요 수입국
국제무역센터(ITC Trade Map)에 따르면, 2023년 기준 UAE의 전체 쇠고기 수입액은 약 8억 7천만 달러에 달한다. 이 중 냉장 쇠고기 수입액은 약 4억 8,500만 달러, 냉동 쇠고기 수입액은 약 3억 8,500만 달러로, 냉장 쇠고기가 전체 수입액의 약 56%, 냉동 쇠고기가 약 44%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입량 기준으로는 총 11만 9,537톤의 쇠고기를 수입했으며, 이 중 냉장 쇠고기 수입량은 6만 1,312톤, 냉동 쇠고기 수입량은 5만 8,225톤으로 집계되었다. 수입 의존도를 살펴보면, UAE의 연간 쇠고기 소비량은 약 13만 2천 톤으로 추산되며, 전체 공급량의 90% 이상을 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UAE의 주요 쇠고기 수입국은 브라질, 파키스탄, 호주, 인도, 미국, 일본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특히 일본으로부터의 쇠고기의 수입량은 2019년 24톤에서 2023년 879톤으로 급증하며, 연평균 105.5%의 폭발적인 성장률을 보였다.
▶ 국가별 UAE 인증 도축장 현황 및 한국의 등록 상황
현지 고소득층 소비자, 한인 교민, 식자재 바이어를 중심으로 고품질 한우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두바이 내 한국식 바비큐 레스토랑은 2023년 1곳에서 2024년 4곳으로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그동안 UAE 정부로부터 승인받은 한국 내 할랄 도축장이 없어 중동 지역으로의 한우 수출은 사실상 불가능한 상황이었다.
이에 따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두바이지사는 2022년부터 한국 내 할랄 도축장 인증을 위해 조사 및 컨설팅, 유관기관 회의, 현지 마케팅 지원 등을 추진해왔다.
그 결과, 2025년 1월 국내 최초로 횡성 소재 도축장이 UAE 정부의 할랄 도축장 인증을 획득하며, 한국산 한우의 중동 수출을 위한 제도적 기반이 마련되었다.
현재는 횡성 도축장(쇠고기) 외에 제주 도축장(닭고기)도 UAE 정부에 등록을 진행 중이며, 한국은 총 2개 도축장의 인증을 추진하고 있다.
UAE 기후변화환경부(Ministry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 MOCCAE)에 따르면, 2025년 4월 말 기준 UAE 정부로부터 인증받은 해외 할랄 도축장 수는 총 258개소에 달하며, 국가별 현황은 다음과 같다.
▶ 시사점
최근 두바이를 중심으로 한국식 프리미엄 바비큐 레스토랑이 빠르게 늘어나면서, 고품질과 차별화된 맛을 강점으로 한 한국산 한우에 대한 수요도 점차 가시화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국내 도축장이 UAE 정부의 할랄 인증을 획득함에 따라 그간 제도적 장벽으로 인해 어려웠던 한국산 한우의 중동 시장 진출 가능성이 현실화되고 있다.
이번 한우 도축장 인증을 계기로 중동 수출이 본격화되는 가운데, 시장 진입 및 인지도 제고를 위한 다양한 홍보 행사가 계획되어 있다. 특히, 오는 6월, aT 두바이지사가 주관하는 K-Food Fair에서는 할랄 한우 론칭쇼와 함께 한우 홍보관이 운영될 예정이다.이번 행사를 통해 현지 소비자와 바이어를 대상으로 한우의 우수성을 알리고, 한우 시식 행사를 통해 인지도를 높이는 한편, 수출 확대의 중요한 발판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한우 도축장 인증을 통해 단순한 시장 진입을 넘어, 현지 내 한우 브랜드 인지도 제고, 유통망 구축, 프리미엄 시장 포지셔닝을 위한 전략적 실행이 필요한 시점이다.
▶ 출처
1. ICT Trade Map – UAE ‘19년~’23년 냉장·냉동 쇠고기 (HS CODE 0201, 0202 기준) 수입량 https://www.trademap.org/
2. Ministry Of Climate Change And Environment(MOCCAE) - 승인된 도축장(Approved Slaughterhouses)
https://www.moccae.gov.ae/en/our-services/approved-slaughterhouses.aspx
문의 : 두바이지사 전용필(pioneer@at.or.kr)
'[UAE] UAE 쇠고기 수입 현황 및 한국산 한우 진출 동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