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 동향
조회835[지구촌 리포트]
▶ 태국의 반려동물 사료 시장 성장 동향
· 태국의 시장 조사 기관인 카시콘 연구센터(KResearch)에 따르면, 2025년 태국의 반려동물 사료 시장 규모는 약 460억 바트(한화 약 1조 9,300억 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는 전년 대비 12% 성장한 수치다.
|
*그림 1 태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 규모 |
· 2025년 태국의 반려동물 사료 판매량은 약 39만 8천 톤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반려동물 수 증가가 주요 성장 요인으로 작용한 결과다. 같은 해 반려동물 수는 약 6% 증가해 총 538만 마리에 이를 것으로 보이며, 이 중 개는 약 345만 마리, 고양이는 194만 마리로 추산된다.
· KResearch에 따르면, 태국의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향후 매년 약 7%씩 성장할 것으로 전망된다. 제품 부문별로는 현재 개 사료가 시장을 주도하고 있으며, 고양이 사료가 그 뒤를 잇고 있다. 다만 최근에는 고양이 사료 시장이 빠르게 확대되고 있으며,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연평균 성장률은 고양이 28%, 개 19%로 집계됐다.
▶ 소비자 트렌드 및 제품 다변화
· 방콕 및 수도권은 반려동물 수요와 높은 구매력을 바탕으로 반려동물 사료 시장의 핵심 성장 지역으로 주목받고 있다. 이 지역의 반려동물 수는 약 31만 마리로 전체의 6%를 차지하며, 평균 소득은 월 35,901바트로 전국 평균을 크게 웃돈다. 이에 따라 프리미엄 사료 및 특수식에 대한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이에 따라 Mars Inc.와 PCG와 같은 글로벌 기업들은 태국 내 생산 거점을 활용해 저가형부터 다양한 가격대의 제품을 출시하며, 내수 시장은 물론 수출 수요까지 충족하고 있다. 이와 함께 Charoen Pokphand Group(CP), Betagro(DOGnjoy), Asian Group(Monchou), Thai Union Group 등 태국의 주요 식품 기업들도 반려동물 사료 사업으로 사업 영역을 확대하고 있다.
<현지 주요 글로벌 반려동물 사료 브랜드>
사진 |
|
|
|
브랜드 |
ME-O |
Whiskas |
ROYAL CANIN |
기업 |
Perfect Companion Group |
Mars Petcare |
ROYAL CANIN |
· 또한 프리미엄 시장을 중심으로 한국산 펫푸드의 유입도 점차 확대되고 있다. 한국산 제품은 천연 원재료를 사용해 반려동물의 알레르기 유발 요소를 최소화하고, 건강에 도움을 주는 기능성 제품으로 인식되며 수요가 증가하고 있다.
<현지 주요 한국산 반려동물 사료 브랜드>
사진 |
|
|
|
브랜드 |
Nature Core |
Felicucina |
ISKHAN |
기업 |
Nature Core |
HDC |
Wooriwa |
· 태국 반려동물 사료의 주요 유통 경로는 전통적으로 전문 매장인 펫숍(Pet Shop)이 중심이었으나, 최근 반려동물 사료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면서 대형마트와 편의점에서도 관련 코너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현재 이 두 채널은 전체 시장의 약 90%를 차지하고 있다.
사진 |
|
|
|
브랜드 |
Pet Lovers Center |
Tops Supermarket |
7-ELEVEN |
유형 |
PET SHOP |
대형마트 |
편의점 |
▶ 수입 및 수출 현황
· 태국의 반려동물 사료 산업은 국내외 수요 증가에 힘입어 지속적인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수입 사료 또한 강세를 보이며, 2019년부터 2024년까지 수입액은 연평균 17%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주요 수입국으로는 중국이 약 39%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이어 한국이 약 24.6%를 점유하고 있다. 최근 중국산 사료의 수입 증가로 인해 시장 내 가격 경쟁이 더욱 치열해지고 있다.
· 2025년 수출액은 약 31억 달러(한화 약 4조 3,086억 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며, 이는 전년의 28.4% 성장보다는 둔화된 15% 수준이다. 이러한 둔화는 미국, 이탈리아, 일본 등 주요 수출국의 수요 증가세가 다소 약화된 데에 따른 것으로, 이들 국가가 전체 수출의 5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 시사점
· 태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은 프리미엄화와 제품 다변화를 중심으로 성장 중이며, 한국산 기능성 펫푸드는 건강 중시 소비자 트렌드에 부합해 시장 진입 가능성이 높다. 특히 방콕 및 수도권의 고소득층을 타깃으로 한 프리미엄 제품 전략과 유통 채널 맞춤형 접근이 효과적인 진출 전략이 될 수 있다.
▶자료원
https://www.nationthailand.com/business/economy/40049845
https://www.nationthailand.com/news/general/40049540
https://petfair-sea.com/asia-markets/southeast-asia-pet-market/thailand-pet-market/
문의 : 방콕지사 김창호(atbkkho@at.or.kr)
'[태국] 반려동물 사료 시장 동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