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질] 커피 가격 꾸준한 상승세...4월 커피 소비량 16% 감소
조회852
브라질 커피협회(Abic)에 따르면 2025년 4월의 커피 소비량이 전년 동월과 비교했을 때 16% 감소했다. 이는 올해 들어 커피 값이 지속적으로 상승한 데 따른 영향으로 보인다. 브라질 통계청(IBGE)에 따르면 올해 4월 브라질의 커피 값은 작년 동기 대비 80% 상승했으며, 이는 30년만간 기록된 가장 높은 인플레이션 수치라고 밝혔다.
커피협회가 제시한 소매점에서 판매되는 원두 및 분쇄 커피의 키로당 가격은 2022년과 2023년에는 30헤알 대를 유지하였으나, 2024년 10월에 40.01헤알을 기록했고 이후 지속적으로 증가해 2025년 3월에는 64.80헤알(한화 약 1만6천원)을 기록했다. 32.9헤알이었던 작년 3월 대비 약 97% 상승한 것이다.
인스턴트 커피는 85%의 상승률로 가장 높은 물가 상승을 보였으며, 그 뒤를 이어 고급 커피(56%), 일반 및 진한 커피(50%), 스페셜 커피(42.3%), 프리미엄 커피(29%) 순으로 가격이 올랐다. 커피협회는 쓴맛, 단맛, 산미 등에 따라 위와 같은 등급으로 커피를 분류한다.
등급 |
단맛 |
산미 |
쓴맛 |
일반 (tradicional) |
●〇〇〇〇 |
●●〇〇〇 |
●●●●〇 |
스페셜 (especial) |
●●●●● |
●●●●● |
●〇〇〇〇 |
고급 (gourmet) |
●●●●〇 |
●●●●〇 |
●●〇〇〇 |
진한 커피 (extraforte) |
●〇〇〇〇 |
●〇〇〇〇 |
●●●●〇 |
프리미엄 (superior) |
●●●〇〇 |
●●●〇〇 |
●●●〇〇 |
출처: 브라질 커피협회 (Abic)
커피협회는 올해 2월, 원두 가격이 크게 올랐음에도 불구하고 아직 그 상승분이 소비자 가격에 반영되지 않아 향후 두 달간 커피 가격이 더 오를 것이라고 경고했었다. 커피 가격 상승의 배경에는 이상기후뿐만 아니라 국제 정세와 같은 전 세계적인 요인들도 크게 작용했다.
지난해, 기후 악화로 인해 커피나무가 스트레스를 받아 생존을 위해 열매 성장을 멈추는 현상이 발생했으며, 이는 수확량 감소로 이어졌다. 여기에 더해, 지난 4년동안 반복된 서리와 폭염 등의 이상기후까지 겹치며 커피 산업의 원자재 비용이 224% 증가했고, 소비자 가격은 110% 상승했다.
이 외에도 중동 지역의 전쟁으로 인해 국제 물류비가 크게 상승하고 컨테이너 가격도 함께 올랐다. 한편, 베트남과 같은 주요 커피 생산국들도 기후 문제로 작황 부진을 겪어 전 세계 커피 공급이 줄어든 것도 가격 상승의 한 요인이다.
또한, 브라질 커피 생산자들이 해외 시장 진출을 확대함에 따라, 국내 시장에 공급되는 물량이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현상도 가격 인상에 영향을 미쳤다.
한편, 올해 초 브라질에서는 커피 값 인플레이션을 틈타 ‘가짜 커피’가 등장해 논란이 있었다. 이 제품은 진짜 커피의 절반도 안 되는 저렴한 가격으로 유통되었으며, ‘커피맛 음료 제조용 파우더’라고만 표시되어 있어 외관상 진짜 커피와 구별이 어렵다는 점에서 소비자 기만의 가능성이 제기되었었다. 브라질 법규는 커피에 가지, 잎, 나무껍질 등 천연 커피 불순물과 다른 이물질이 최대 1%까지만 포함될 수 있도록 규정하고 있으나, 가짜 커피는 이 기준치를 훨씬 넘는다.
브라질 정부는 2월에 가짜 커피를 유통한 세 브랜드(Melissa, Pingo Petro, Oficial)를 압수해 성분을 조사했다. 이후 5월 23일 브라질 농식품부(MAPA)는 해당 제품들이 로스팅 커피의 정체성과 품질 기준을 충족하지 못해 인체 소비에 적합한 제품 목록에서 제외되었음을 공식 발표했다.
이에 농식품부는 해당 기업들에게 유통 중인 가짜 커피 제품의 회수(리콜)를 요청했으며, 소비자들에게는 해당 제품이 아직 판매 중일 경우 공식 신고 채널인 Fala.BR을 통해 판매처 이름과 주소를 신고할 것을 권고했다. 또한 이미 이 제품을 구매한 소비자들에게 섭취를 중단하고, 소비자 보호법에 따라 교환을 요청할 권리가 있음을 안내했다.
브랜드 |
생산 단위 |
책임 회사 (포장업체) |
포장업체 소재 주 |
농식품부 정식 등록 여부 |
위반 사항 |
Melissa |
0125A |
Com. E Ind. de Torrefacao de Café Duas Marias Ltda – EPP CNPJ 82.376.138/0001-54 |
파라나 |
〇 |
허용치를 초과한 불순물 및 이물질의 총합과 미코톡신 존재 |
Pingo Preto |
12025 |
Jurere Cafe Comercio de Alimentos Ltda CNPJ 28.276.602/0001-95 |
산타 카타리나 |
〇 |
허용치를 초과한 불순물 및 이물질의 총합 |
Oficial |
263 |
Master Blends Industria de Alimentos Ltda CNPJ 71.993.380/0001-50 |
상파울루 |
〇 |
미코톡신 존재 |
출처: 브라질 농식품부 (MAPA)
[시사점]
커피 가격 인상으로 인해 소비자들의 수요가 변화하고 있으므로 현지의 소비 트렌드를 면밀히 분석해 가격 전략을 세우는 등 시장 변동성에 대처할 필요가 있으며, 커피 수입 관련 법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수입 규제 변화에 대응해야 한다.
출처
https://www.abic.com.br/certificacoes/#EstilosCafe
문의 : 상파울루지사 김다은(diana@at.or.kr)
'[브라질] 커피 가격 꾸준한 상승세...4월 커피 소비량 16% 감소'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