말레이시아, 저도수 주류 과일소주, 막걸리 인기
조회2364∎말레이시아, 저도수 주류 과일소주, 막걸리 인기
‧ `20년~`21년 2분기까지 말레이시아 정부의 방역 조치로 인해 유흥주점 영업이 불가능했고, 또한 2021년 11월 1일부로 쿠알라룸푸르 내 주류 판매를 제한하면서 Shopee, Lazada, Sotipsy.com 및 Boozeat 등 전자상거래를 통해 술을 주문하여 배달받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음
‧ 주 소비층은 중국계, 인도계, 외국인으로 유흥주점에서 주로 소비되는 샴페인, 와인, 보드카, 럼주 등 도수가 높은 주류 소비량은 감소했고, 반면 맥주(타이거, 칼스버그 등), 과일소주, 막걸리 등 도수가 낮은 주류는 전자상거래를 통해 쉽게 구매할 수 있어 과일소주, 막걸리 수출은 꾸준히 증가하고 있음
‧ 말레이시아는 전체 인구의 약 60%가 무슬림으로 이슬람 율법에 따라 주류 소비를 엄격하게 금하고 있어 방송매체를 통한 주류광고는 불가능하지만, 예외로 동말레이시아 사바주는 주류광고를 허용할 정도로 사바주 정부는 주류 소비에 개방적
< 말레이시아 주류 소비동향 >
단위 : MYR 백만, 톤
품목 |
2019 |
2020 |
2021 |
|||
중량 |
금액 |
중량 |
금액 |
중량 |
금액 |
|
맥주 |
215.8 |
10,937.4 |
178.1 |
8,513.6 |
176.4 |
8,408.8 |
증류주 |
5,512.7 |
2,685.6 |
5,337.1 |
2,076.4 |
5,491.5 |
1,941.6 |
와인 |
9.0 |
1,499.5 |
8.2 |
1,280.7 |
8.0 |
1,215.5 |
RTDs (하이볼, 칵테일) |
357.6 |
19.6 |
289.2 |
15.5 |
269.3 |
14.1 |
과일주 |
121.9 |
5.8 |
102.5 |
4.6 |
100.1 |
4.4 |
* 출처 : Euromonitor(Alcoholic Drinks in Malaysia)
< 對 말레이시아 주류 수출동향(누계) >
단위 : 1천$, 톤
품목 |
2019년 |
2020년 |
2021년 |
2022년 6월 |
||||
중량 |
금액 |
중량 |
금액 |
중량 |
금액 |
중량 |
금액 |
|
소주 |
623.5 |
1,009.3 |
975.0 |
1,549.96 |
689.5 |
1,109.3 |
566.7 |
957.9 |
막걸리 |
90.0 |
75.7 |
95.4 |
92.4 |
140.5 |
151.3 |
117.5 |
127.0 |
맥주 |
123.0 |
140.2 |
54.2 |
52.1 |
84.8 |
75.3 |
68.9 |
44.8 |
곡물발효주 |
51.9 |
50.8 |
16.9 |
17.5 |
65.7 |
68.3 |
38.2 |
42.3 |
증류주 |
99.9 |
185.1 |
63.5 |
134.7 |
22.0 |
80.9 |
9.8 |
18.2 |
과실 발효주 |
48.4 |
201.0 |
48.2 |
200.9 |
18.9 |
89.2 |
5.8 |
44.6 |
스카치 위스키 |
14.0 |
257.7 |
4.4 |
237.2 |
2.3 |
115.6 |
1.0 |
48.6 |
인삼주 |
0 |
0 |
4.2 |
36.4 |
0.8 |
7.8 |
0.4 |
3.9 |
약주 |
2.9 |
12.5 |
7.4 |
31.5 |
0.9 |
4.2 |
0.2 |
0.7 |
청주 |
6.5 |
19.0 |
6.8 |
20.4 |
8.1 |
24.2 |
0 |
0 |
* 출처 : Kati
< 쿠알라룸푸르 내 주류 판매제한 세부내용 >
판매주류 제한 |
- 주류 판매 라이센스(Liquor License)는 도수를 기준으로 두 종류로 분류 됨 1) Public House License : 고·저도수 주류 판매가 가능한 라이센스로 말레이시아 정부에서 유흥주점(바, 클럽 등), 주류 전문 도매점 및 대형 유통매장 대상으로 라이센스 발급 / 발급비용 : RM660 2) Beer House License : 맥주 판매만 가능한 라이센스로 말레이시아 정부에서 음식점, 편의점 및 식료품점 대상으로 라이센스 발급 / 발급비용 : RM480 |
판매시간 제한 |
- 주점 및 음식점 : 오전 10시 ~ 자정 (오전 2시까지 연장 가능) - 도매점(주류전문 판매점) : 오전 7시 ~ 오후 9시 - 소매점(대형 유통매장, 편의점 등) : 오전 7시 ~ 오후 9시 |
기타 제한사항 |
- 경찰서, 예배당, 학교, 병원 및 주거시설 100m 내 주류 판매 금지 - 모든 주류 취급 사업장은 사업장 내부에 주류 판매 라이센스를 상시 비치하고 출입구에 청색(사업장 내 음주 가능) 및 황색(사업장 내 음주 불가, 테이크 아웃만 가능) 라이센스 QR코드 부착 의무화 - 21세 미만 주류 판매 금지(방문객 및 자국민) |
* 출처 : therakyatpost.com, ichefpos.com
< 말레이시아 주류 조세내역 >
단위 : MYR
구 분 |
수입관세 |
|||
종량세 |
종가세 |
판매세 |
소비세 |
|
맥 주 |
5.00/리터 |
15% |
10% |
17.50/리터 |
와 인 |
7.00/리터 |
150.00/리터(알코올 원액 기준) |
||
스파클링 와인 |
23.00/리터 |
450.00/리터(알코올 원액 기준) |
||
증류주 |
58.00/리터 |
150.00/리터(알코올 원액 기준) |
||
하이볼, 칵테일 |
93.50/리터 |
60.00/리터 |
||
과일주 |
7.00/리터 |
60.00/리터 |
▶시사점 및 전망
‧ 이슬람 국가이자 다문화 국가인 말레이시아는 정부에서 주류 소비를 제한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지만,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주류 수입관세를 부과하고 있어 조세 확보의 측면에서 주류 소비를 금지하기 어려운 상황이며, 2021년 3분기부터 유흥주점 영업이 재개되었고, 또한 국경도 개방하면서 외국인 방문객이 증가하는 추세로 앤데믹 이후 말레이시아 내 주류시장 전망은 긍정적이다. 중국계 말레이시아 현지인들은 도수가 낮은 술을 선호하며 최근 한류의 영향으로 과일소주, 막걸리를 찾는 소비자가 증가하고 있으며, 소맥(소주+맥주), 폭탄주 등 한국 술문화에 대한 관심도 증가하고 있음
※ 출처
1) Euromonitor_Alcoholic Drinks in Malaysia, 2022. 7.
2) 말레이시아 비관세장벽 모니터링, 2021. 11.
3) Malay Mail_Blanket ban on ‘negative’ habits in Malaysia not good for economy, 2022. 6.
4) Cleartax_Taxation of Liquor and related products, 2022. 1.
'말레이시아, 저도수 주류 과일소주, 막걸리 인기'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