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AE] 펫푸드 시장현황 및 트렌드
조회2789▷ UAE 반려동물 문화 및 펫푸드 시장 개요
UAE는 팬데믹으로 인한 격리생활 이후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급증하여 2023년 기준 고양이와 개를 키우는 가구는 각각 약 15만 가구(전체 가구의 약 8%), 8.6만 가구(전체 가구의 약 4.4%)이며, 지난 2년간 반려동물 용품 산업 역시 꾸준한 성장세를 보였다.
UAE의 반려동물 산업은 개와 고양이에 관련된 제품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이슬람 율법에는 개를 방범, 사냥 외의 용도로 키우는 것을 금기시 하고 있지만 외국인 거주 비율이 90%에 육박하는 UAE에는 아랍권 국가 중에서 개가 상당히 많은 편이다. (상대적으로 보수적인 이웃 국가인 사우디아라비아의 경우 고양이를 키우는 가구가 약 177만 가구, 개를 키우는 가구가 약 28만 가구로 반려동물로서 고양이가 훨씬 인기가 많다.)
▷ 펫푸드 시장 규모
‘23년 UAE의 펫푸드 시장 규모는 총 742.6백만 AED (202백만 달러)로, 전 세계 시장 중 43위를 기록하였다. 펫푸드 시장의 약 97%가 고양이와 개 사료 제품(고양이, 개 각각 약 360백만 AED)이며 새, 물고기, 그 외 동물 사료가 약 3%를 차지한다.
UAE 펫푸드 시장 규모 |
|
출처: Euromonitor |
‘24년 고양이 사료 시장은 전년대비 약 9% 성장하여 393백만 AED로 예측되며, 연평균성장률 8%로 계산했을 때 2029년 571백만 AED에 이를 것으로 보인다.
고양이 사료 시장 예측 |
|
출처: Euromonitor |
수의사들이 고양이에게 수분이 함유된 습식 사료 급여를 권장하기 때문에 건식에 비해 습식 사료 판매량(전체 시장의 55%)이 조금 높으며, UAE에서도 반려묘를 가족처럼 생각하는 사람들이 늘어나면서 고가의 기능성 사료 판매가 가장 잘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23년 고양이 사료(고가/중가/저가) 시장 점유율 |
|
출처: Euromonitor |
‘24년 개 사료 시장은 전년대비 약 8% 성장하여 391백만 AED로 예측되며, 연평균성장률 8%로 계산했을 때 2029년 562백만 AED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개 사료 시장 예측 |
|
출처: Euromonitor |
개 사료의 경우에는 건식 사료가 전체 판매량의 약 77%를 차지하고 있다. 또한 최근 UAE에서 사람들이 신선하고 좋은 음식을 선호하는 등 점점 더 건강에 신경을 쓰기 시작했는데, 이러한 트렌드가 반려견의 사료를 고르는 것에도 반영이 되고 있다. 단백질이 풍부한 사료, 관절에 좋은 사료 등 기능성이 확실하게 드러난 사료가 잘 팔리며, 신선하고 고품질의 재료가 들어간 제품이 인기가 높다.
‘23년 개 사료(고가/중가/저가) 시장 점유율 |
|
출처: Euromonitor |
▷ 펫푸드 수출입 동향
생산 설비가 부족한 UAE는 소비되는 사료의 대부분을 수입하고 있다. 연평균 약 15%씩 지속적으로 수입량이 증가하고 있고, 對UAE 최대 펫푸드 수출국은 태국(유명 브랜드 OEM, 전체 수입의 약 33%)이며 프랑스(19%), 미국(11%)이 그 뒤를 잇는다.
GCC국가들 전체적으로 반려동물을 키우는 인구가 증가함에 따라 쿠웨이트, 오만, 바레인, 사우디아라비아, 카타르에 대한 UAE의 펫푸드 수출량도 급증하는 추세이다.
<UAE 펫푸드(개, 고양이 사료 HS코드 230910) 수출입 현황 (2017-2021)>
* 조회기준년월 : 2024년 5월 * 단위: 1천$
구분 |
2017 |
2018 |
2019 |
2020 |
2021 |
연평균 성장률 |
수입 |
45,307 |
52,716 |
55,526 |
66,716 |
78,646 |
15% |
수출 |
1,151 |
9,508 |
11,382 |
21,183 |
30,444 |
127% |
(출처: WITS)
▷ 한국의 對UAE 수출 동향
對UAE 펫푸드 수출은 ’23년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으며 아직까지 전체 시장 대비 수출액은 미미한 편이다. ‘24년에는 현시점까지 개 사료 2,260달러가 수출되었다.
<對UAE 펫푸드(개, 고양이 사료 HS코드 230910) 수출 현황 (2023)>
(단위: kg, $)
구분 |
중량 |
금액 |
고양이 사료 |
50 |
1,207 |
개 사료 |
599 |
6,783 |
(출처: Kati 농식품수출정보)
▷ UAE 펫푸드 시장 점유율
‘23년 기준 Mars Inc와 Nestlé SA, 이 두 글로벌 기업이 UAE 펫푸드 시장의 64.2%를 차지하고 있다. 특히 고양이 사료의 경우 Mars Inc가 시장의 54.5%, Nestlé SA가 32.6%를 점유하여 독과점 형태를 띄고 있으며, 브랜드로 따지면 Mars Inc의 Royal Canin이 28.1%로 가장 높은 시장 점유율을 보였다.
<UAE 고양이 사료 브랜드 점유율 (2023)>
* 조회기준년월 : 2024년 5월 * 단위: %
순위 |
브랜드 |
제조 기업 |
시장 점유율 |
1 |
Royal Canin |
Mars Inc |
28.1 |
2 |
Sheba |
Mars Inc |
13.6 |
3 |
Friskies |
Nestlé SA |
13.3 |
4 |
Fancy Feast/Gourmet |
Nestlé SA |
12.9 |
5 |
Whiskas |
Mars Inc |
11.5 |
(출처: Euromonitor)
한편 사료 제조 기업 (브랜드를 본래 소유한 기업)과 UAE 內에서 브랜드 유통 권한을 가진 기업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가 있다. Mars inc의 제품들은 Mars GCC와 Saint Vincent Group GT LLC (이하 SV 그룹)가 나누어서 유통하고 있는데, SV 그룹이 고양이 사료 점유율 1위 브랜드인 Royal Canin의 UAE 內 유통권을 가지고 있어 ‘23년 기준 기업 점유율 28.1%를 차지하고 있다.
<UAE 고양이 사료 유통기업 점유율 (2023)>
* 조회기준년월 : 2024년 5월 * 단위: %
순위 |
유통기업 |
시장 점유율 |
1 |
Nestlé Middle East FZE |
32.1 |
2 |
Saint Vincent Group GT LLC |
28.1 |
3 |
Mars GCC |
26.3 |
4 |
Naturally for Pets LLC |
2.2 |
5 |
Waitrose Ltd |
0.9 |
(출처: Euromonitor)
개 사료 시장 점유율을 살펴보면 Mars Inc가 35%, Nestlé SA가 6.2%로 고양이 사료 시장에 비해서 기타 기업 제품들이 골고루 판매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브랜드 점유율로는 역시 Mars Inc의 Royal Canin이 24.6%로 가장 높았다.
<UAE 개 사료 브랜드 점유율 (2023)>
* 조회기준년월 : 2024년 5월 * 단위: %
순위 |
브랜드 |
제조 기업 |
시장 점유율 |
1 |
Royal Canin |
Mars Inc |
24.6 |
2 |
Pedigree |
Mars Inc |
9.2 |
3 |
Taste of the Wild |
Schell & Kampeter Inc |
5.1 |
4 |
Beneful |
Nestlé SA |
2.0 |
5 |
JerHigh |
Charoen Pokphand Group |
1.9 |
(출처: Euromonitor)
Royal Canin 유통권으로 인해 SV 그룹이 개 사료 시장 기업 점유율 24.6%를 차지하고 있으며 3위 브랜드인 Taste of the Wild의 유통권을 가지고 있는 Naturally for pets LLC가 5.1%의 점유율을 보인다. 2.2%를 점유하고 있는 The Pet Shop LLC은 온오프라인 펫 용품 소매샵도 함께 운영한다.
<UAE 개 사료 유통기업 점유율 (2023)>
* 조회기준년월 : 2024년 5월 * 단위: %
순위 |
유통기업 |
시장 점유율 |
1 |
Saint Vincent Group GT LLC |
24.6 |
2 |
Mars GCC |
10.4 |
3 |
Naturally for Pets LLC |
5.1 |
4 |
Nestlé Middle East FZE |
5.0 |
5 |
The Pet Shop LLC |
2.2 |
(출처: Euromonitor)
▷ 판매채널
펫푸드의 절반 이상(‘23년 기준 56%)이 펫샵에서 판매되고 있으며, 하이퍼마켓 등 대형 유통매장에서의 판매 비중도 약 21%로 높은 편이다. 아울러 UAE 내 온라인 플랫폼들이 빠른 속도로 성장하고 있는데, 펫푸드의 온라인 구매율도 점점 높아지고 있는 추세이다.
<UAE 펫푸드 판매 채널 현황>
* 조회기준년월 : 2024년 5월 * 단위: %
구분 |
2020 |
2021 |
2022 |
2023 |
2024 |
하이퍼마켓 |
24.7 |
22.8 |
21.6 |
21 |
20.8 |
슈퍼마켓 |
8.4 |
7.4 |
7.3 |
7.2 |
7.2 |
펫 용품샵 |
51.7 |
54.6 |
55.7 |
56 |
56.2 |
동물병원 |
6.5 |
6.4 |
6.4 |
6.6 |
6.5 |
온라인 |
8.7 |
8.9 |
9.0 |
9.2 |
9.3 |
(출처: Euromonitor)
하이퍼마켓, 슈퍼마켓에서 판매하는 브랜드들을 살펴보면 UAE 시장 점유율대로 글로벌 기업들의 제품이 주로 입점해 있으며, 펫 용품샵에는 글로벌 브랜드 외 기타 기업 제품들도 골고루 판매하고 있어 소비자의 선택권이 넓은 편이다.
<UAE 펫푸드 유통 현황>
* 조회기준년월 : 2024년 5월
유통채널 |
기업 |
제품명 |
제품사진 |
하이퍼마켓
까르푸 (Carrefour) |
-Mars Inc -Nestlé SA -Plasir -Schell & Kampeter Inc |
-Sheba filets selection wet cat food -Whiskas chicken dry cat food -Pedigree vital protection chicken and vege dry adult dog food -Royal canin SHN Mini Puppy Health Nutrition |
![]() |
슈퍼마켓
스피니즈 (Spinneys) |
-Mars Inc -Nestlé SA -Plasir |
-Fancy feast gravy lovers salomon wet cat food -Felix cat food chicken and tuna -Pedigree lamb dog food -Cesar beef dog food |
![]() |
펫샵
더펫샵 |
-Mars Inc -Nestlé SA -Schell & Kampeter Inc 외 기타 기업 제품 다수 |
-Royal Canin Ragdoll Adult dry cat food -Purina felix doubly delicious fish selection -Taste of the wild ancient stream salmon dry dog food -Royal Canin cavalier dry food |
![]() |
(사진출처: 까르푸, 스피니즈, 더펫샵)
시사점
최근들어 UAE를 비롯한 걸프지역 펫푸드 시장이 꾸준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특정 기업 제품의 판매 쏠림 현상이 큰데 ‘23년 기준 고양이 사료 시장점유율을 살펴보면 글로벌 펫푸드 기업인 Mars와 Nestle가 약 87%를 차지하고 있어 독과점 시장으로 볼 수 있다.
개 사료 역시 양사가 시장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41.2%로 상당히 높지만 기타 기업의 브랜드들도 다양하게 많이 들어와 있는 상황으로, 한국 펫푸드 기업이 UAE 시장에 진출을 고려한다면 고양이 사료 시장보다는 침투하기 수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런 시장 환경에서는 대다수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글로벌 기업과 마케팅 경쟁을 하기보다는, USP(Unique selling proposition)전략을 사용, 휴먼그레이드(사람이 먹을 수 있는 제품), 유기농, 건강식 등 상대적 우위가 있는 부분을 강조하여 특정 소비층을 공략하는 것이 유리할 것이다.
아울러 UAE 內 펫 제품 유통망을 가진 SV 그룹, The petshop과 같은 기업들과의 협업을 통해 리스크를 줄이며 시장 진입을 노려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출처
1. Gulfnews
2. Gulfbusiness
https://gulfbusiness.com/interview-petshop-ceo-amr-hazem-dog-cat-retail/
3. Petfood in UAE, Euromonitor
문의 : 두바이지사 류한샘(samlyu@at.or.kr)
'[UAE] 펫푸드 시장현황 및 트렌드'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