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월 4주차 글로벌 식품 비관세장벽 뉴스레터 (이슈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ㅇ 태국, 사전 포장 식품의 라벨 표시 요건 개정 초안 공고에 관한 의견수렴 ㅇ 일본, 한국산 깻잎과 깻잎 가공품에 파클로부트라졸(잔류농약) 검사명령 해제 및 모니터링 강화 ㅇ 중국, 분말 및 과립 형태로 가공된 고체음료의 품질 요구사항 개정 초안에 관한 의견수렴(2023년 9월 26일까지) ㅇ 러시아, 수입식품 통관 검역 시 인증마크 및 필수 표시 정보 간소화 절차 연장 시
6월 1주차 글로벌 식품 비관세장벽 뉴스레터 (이슈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시면 보다 자세한 정보를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ㅇ 캐나다, 포장 제품의 앞면 영양 라벨링에 대한 지침 업데이트(2026년 1월 1일 시행) ㅇ 호주, 골판지 소재 알코올음료 외부 포장에 단일 색상의 임신 경고 라벨링 허용 ㅇ 페루, 식품 포장에 쉽게 떼어질 수 있는 스티커 형태의 라벨 사용금지 ㅇ 일본, 한국산 홍삼의 인지 기능(기억력) 개선 효과를 인정하여 기능성표시식품으로 등록 ㅇ 말레이시아 내
일본 비관세장벽 이슈 유기가공식품의 생산 관리 요건 및 라벨링 요건 규정, 관련 식품 수출 시 주의해야 일본 농림수산성은 유기가공식품의 용어, 정의 및 분류, 생산관리 요건, 라벨링, 허용 첨가물 목록 등이 명시된 《유기가공식품의 일본 농업 기준(有機加工食品の日本農林規格, 이하 본 규정)》을 발표하였으며, 본 규정은 2022년 10월 1일부터 시행될 예정임 본 규정의 정의에 따라, 유기가공식품은 식염 및 물을 제외한 원재료와 첨가물(가공보조제 제외)의 중량에서 농산물(유기농산물 제외), 축산물(유기축산
* 우측 클릭 모양을 선택하시면 해당 이슈 편을 다운받으실 수 있습니다. - 목 차 - Ⅰ. 국가 01 네덜란드 농식품 중계무역 특성 및 발전현황 02 네덜란드 농업발전 현황 조사(주요 농업·식품 클러스터를 중심으로) 03 태국-CLMV 국가 간 물류현황 조사 04 태국 냉동·냉장 물류(콜드체인) 현황 및 한국 농식품 진출전략 05 코로나19 이후 소비 회복에 따른 물류난 현황 및 대응 방향 Ⅱ. 정책 06 멕시코 가공
* 중국, 호주 데이터 업데이트(2021.11.23.) * 이스라엘 데이터 업데이트(2021.12.20.) 2021년 9월 농식품 통관거부 및 리콜사례 동향분석보고서 자료입니다. 관련 업무에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Ⅰ. 국가별 통관거부 사례 1. 9월 한국산 통관거부사례 동향 2. 월별 한국산 통관거부사례 현황 3. 9월 한국산 통관거부사례 목록 4. 9월 한국산 통관거부사례 지침 5. 9월 글로벌 통관거부사례 Ⅱ. 국가별 리콜사례 1. 9월 한국산 리콜사례 동향 2. 월별 한국
- 목 차 - 미국 006 관리·법률 체계 006 식품 라벨링 기준 014 품목별 라벨링 표기 025 기타 참고사항 027 최근 이슈사항 027 관련 법령 및 사이트 정보 프랑스 030 관리·법률 체계 031 EU 식품 라벨링법의 주요 내용 036 라벨링 표기 내용 및 방식 039 품목별 라벨링 표기 060 최근 이슈 062 Brexit(영국의 유럽연합 탈퇴) 064 출처 두바이 070 관리·법률 체계 071 식품 라벨링 기준 072 표시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