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해외시장동향

홈 뉴스 수출뉴스
12.31 2016

일본 키위 시장동향

조회1279

Market Trend 01. 시장 메가 트렌트




건강과 위생을 중시하는 일본의 소비자
일본의 후생노동성은 2015년 4월부터 나트륨 일일 섭취 권장량을 개정하여 발표함. 성인 남성은 9g에서 8g으로 여성은 7.5g에서 7g으로 권장치를 축소함. 이에 따라 일본 소비자들은 나트륨 섭취에 대해 관심을 갖기 시작하였으며 식품제조업체들은 저염 라면, 저염 햄 등 저염 식품을 앞 다투어 출시함

또한 일본 정책금융금고에서 발표한 ‘가공식품 관련 설문조사, 2014’에 따르면 소비자의 49.8%가 후쿠시마 원전 방사능 유출사태 이후 가공식품의 라벨을 필수적으로 확인하는 등 식품 위생에 대한 관심이 고조됨. 이로 인해 소비자들은 식품의 원산지와 영양 성분, 인증 등 다양한 부분을 확인하고 구매함

이에 식품제조업체는 식품안전, 위생, 유기농 등을 강조한 제품을 출시하여 경쟁하고 있음

다양한 가격대의 Private Brand 시장 확대
신일본슈퍼마켓협회의 2014년 발표내용에 따르면 PB상품의 매출액이 전년도에 비해 증가하고 있다고 전함. 대형유통업체가 잇따라 저렴한 PB상품을 출시하며 경쟁이 가열됨

일본의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My Voice에 따르면 소비자들이 가장 많이 구매하는 PB상품의 품목은 디저트 제품으로 나타남

저가로 시작한 PB상품의 인기는 최근 프리미엄 PB상품으로 확대됨. Aeon그룹과 Seven&I Holdings는 저가 PB상품 경쟁에서 프리미엄 PB상품을 출시하여 차별화를 꾀함. 또한 Aeon그룹은 제조업체와 협력하여 2017년까지 현재의 약 2배인 2,300여 종으로 PB상품의 제품라인을 확대할 예정임


Market Trend 02. 소비 트렌드


일본 내 키위 소비량 증가
일본 재무부(Japan’s Ministry of Finance) 통계에 따르면, 일본 가구당 평균 과일 소비량은 2003년 96.66kg에서 2015년 78.17kg로 감소함

일본에서는 2005년부터 본격적으로 키위를 소비하기 시작하였으며, 감소한 평균 과일 소비량에도 불구하고 키위에 대한 평균 가계 지출은 843엔에서 2015년 1,524엔으로 2배가량 증가하였음. 키위 소비량 또한 2005년 1,174g에서 2015년 1,915g으로 증가함

2016년 5월 1달 동안의 키위 소비액은 가구당 238엔, 평균 273g으로 12년만에 가장 높게 나타남

키위에 대한 일본 평균 가계 지출 (단위: 엔)
가구당 평균 키위 소비량 (단위: g)
출처 : FRUITNET.COM, 'Grapes, kiwifruit showing growth in Japan', 2016.07.01
 


Market Trend 03. 제품 트렌드


일본산 키위는 주로 학교 급식으로 공급일본의 키위 시장은 뉴질랜드산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지만, 일본 에히메, 후쿠오카, 사가현 등에서도 키위를 재배하고 있음. 키위 재배 면적은 2005년을 정점으로 감소세를 보이고 있지만, 출하량은 증가하여 2014년에는 전년 대비 104% 증가한 2만 7,100톤을 생산함. 일본에서 재배되는 키위 품종은 99%가 헤이워드(Hayward) 품종이며, 10월에서 11월에 수확하고 있음. 그러나 일본산 키위는 대체로 신선 과일로 소비되기보다는 학교 급식이나 가공 식품의 재료로 사용됨그린 키위에서 골드 키위로일본에서 소비되는 키위는 과거 그린 키위가 주류를 이루었으나, 점점 골드 키위의 소비가 증가세를 보이고 있음일본 키위 시장의 주력 업체, 제스프리일본 키위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뉴질랜드 제스프리는 키위가 건강에 좋다는 점을 강조하는 방식으로 마케팅을 진행하고 있음. 이에 키위를 활용한 요리 레시피나 키위의 영양 정보 등을 제공하는 웹사이트 운영이 활발함

여름 건강법의 일환으로 소금 키위를 소개하고 있는 제스프리 재팬 홈페이지
출처 : 제스프리 재팬(www.zespri-jp.com)
 



Market Trend 04. 정책 트렌드


잔류 농약 성분으로 인한 신선 과일 통관 거부 사례 가장 많아
일본 후생노동성의 통관 거부 사례 중 2015년의 신선 과일 관련 사례를 분석한 결과, 통관 거부 사례의 주된 이유는 잔류 농약 성분의 기준치 미준수로 확인됨

망고의 경우 펜토에토 및 아조키시스토로빈 성분이 검출되었으며, 두리안은 메타라키실 및 메페노키삼, 레몬은 이마잘릴 그리고 토마토는 훌킨코나졸 성분이 검출되어 통관이 거부됨. 현재까지 공개된 자료 중, 키위의 통관 거부 사례는 존재하지 않으나 잔류 농약 성분에 주의할 필요가 있음

특히 일본은 포지티브 리스트 제도를 채택하고 있는 국가로, 규정된 성분을 제외한 다른 모든 성분은 사용을 금지하고 있음. 실제 수출 시에는 하기 통관 거부 사례와 본 보고서 65p의 잔류농약 규정을 참조할 필요가 있음

일본 후생노동성 신선 과일 통관 거부 사례
(2015년 기준)
출처 : 일본후생노동성(厚生労働省), TradeNAVI(tradenavi.or.kr)
제품명 수출국가 거부사유 기준
망고 필리핀 펜토에토 기준치 초과(분석결과: 0.02 ppm 검출) 망고의 펜토에토
기준치는 0.01ppm임
아조키시스토로빈 2 ppm 검출 망고의 아조키시스토로빈
기준치는 1ppm임
두리안 태국 메타라키실 및 메페노키삼 기준치 초과
(분석결과: 0.02 ppm 검출)
두리안의 메타라키실 및
메페노키삼 기준치는
0.01ppm임
레몬 칠레 이마잘릴 0.0058 g/kg 검출 레몬의 이마잘릴
기준치는 0.005g/kg임
이마잘릴 0.0094 g/kg 검출
토마토 한국 훌킨코나졸 기준치 초과(분석결과: 0.04 ppm 검출) 토마토의 훌킨코나졸
기준치는 0.01ppm임
훌킨코나졸 기준치 초과(분석결과: 0.02 ppm 검출)

 

'일본 키위 시장동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4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첨부파일
  • 등록된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키워드   #키위 #일본

관련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