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과실류에 대한 소비 변화
조회1918
과일명 |
매출 변화 (금전적 기준) |
매출 변화 (물량 기준) |
인플레이션 |
바나나 |
+19.3 |
-1.0 |
+20.3 |
사과 |
+5.3 |
+0.8 |
+4.5 |
감귤 |
+16.5 |
+2.9 |
+13.6 |
포도 |
-9.4 |
+3.0 |
-12.4 |
오렌지 |
+4.4 |
-9.0 |
+13.4 |
배 |
-15.5 |
-29.9 |
+14.4 |
수박 |
+12.2 |
+23.6 |
-11.4 |
레몬 |
+3.3 |
+1.9 |
+1.4 |
복숭아 |
+10.4 |
+31.8 |
-21.4 |
아보카도 |
+22.3 |
+18.1 |
+4.2 |
체리 |
+6.1 |
-10.0 |
+16.1 |
복숭아 |
+8.0 |
+22.8 |
-14.8 |
키위 |
+24.4 |
+25.7 |
-1.3 |
살구 |
+24.2 |
+25.0 |
-0.9 |
자두 |
+12.4 |
+26.3 |
-13.9 |
블루베리 |
+13.1 |
+18.5 |
-5.4 |
메론 |
-14.9 |
-27.2 |
+12.2 |
딸기 |
+4.2 |
-9.7 |
+13.9 |
자몽 |
-24.4 |
-30.9 |
+6.4 |
파인애플 |
-6.1 |
-18.9 |
+12.8 |
'러시아, 과실류에 대한 소비 변화' 저작물은 "공공누리 3유형 출처표시 + 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