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식품소비 동향
조회3139[지구촌 리포트]
○ 국가경제는 연착륙, 서민경제는 경착륙?
우크라이나 사태 직후 제기된 비관론과는 다르게 최근 러시아 경제가 안정세를 이어가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러시아의 연간 물가상승률은 일시적인 부침 이후 이미 감소세에 접어들었으며 조만간 목표치인 4%에 근접할 것이라는 전망이다. 하지만 유독 서민들의 생존과 직결되는 식품, 즉 필수식품의 평균 가격은 반대로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다.
러시아 정부는 오래전부터 사회안정을 위해 비교적 중요도가 높은 25개의 필수식품(표 1 참조)을 선정해 물가상승을 통제하는 정책을 실시하고 있다. 올해 2월 기준 필수식품의 연간 물가상승률은 9.3%를 기록하며 전년 동기 필수식품 물가상승률(4.8%)을 크게 상회했고, 동기간의 연간 물가상승률(7.7%)과 연간 식품 물가상승률(8.1%) 보다 높게 측정되었다. 때문에 필수식품의 계속된 가격 상승이 러시아 경제의 불안요소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 어떤 식품이 얼마나 비싸졌나?
올해 2월 기준 해바라기유, 멸균우유, 메밀, 파스타면, 감자 그리고 양파를 제외한 필수식품 전 품목의 평균가격이 전년 동기 대비 크게 상승했다. 특히 양배추 가격이 60.9%, 계란 10구가 54.9%, 닭고기가 26.1%, 양고기가 23.6%, 돼지고기가 13.3% 상승하며 동 식품들이 올해 연간 필수식품 물가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난해 2월과 올해 2월 기준 소고기, 양고기, 생선류, 소금, 설탕 등을 포함한 총 14개에 달하는 필수식품의 평균가격이 2년 연속 상승했으며, 육류 및 계란 등 동기간 평균 10% 이상의 상승률을 기록한 식품들이 러시아인들의 주요 단백질 공급원이라는 점에서 서민경제에 작지 않은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 왜 계속해서 비싸지고 있나?
당국은 기본적으로 동 식품군 가격상승의 주요 원인으로 가계소득 증가를 꼽고 있다. 즉 가계소득이 전체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필수식품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다는 것이다.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은 지난해 말 진행된 ‘국민과의 대화’ 행사에서 위와 같은 이유로 계란 수요가 늘어났다고 밝혔으며, 유리 코발레프(Yuri Kovalev) 전국돼지사육협회 회장 또한 같은 맥락에서 돼지고기 가격이 하락하지 않고 있는 이유를 설명했다.
최근 몇 년간 저소득층에 대한 정부지원이 확대되고 전체적인 임금수준이 향상되었는데, 그 과정에서 1~2년 사이 러시아 내 화폐 공급량이 40~70% 정도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해 4분기 빈곤선(14,754루블) 이하의 인구는 990만명으로 전년 동기 대비 170만명 감소해 전체 인구의 6.8%를 차지했다. 또한 2023년 한 해 빈곤선 이하 인구는 전체 인구의 9.3%로 전년 동기 대비 80만명 감소한 1,350만명으로 집계되면서 지난 2년간 빈곤층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는 추세가 이어졌다. 동시에 러시아 전 지역의 월별 전체 평균임금은 지난해 1월부터 올해 1월까지 꾸준하게 상승해왔다.
이러한 배경에서 러시아 당국은 필수식품의 물가상승률이 연간 물가상승률을 앞지르고 있는 원인을 “가계소득 증가에 따른 수요 증가”에서 찾은 것이다. 빈곤층 인구의 감소와 평균임금의 상승이 생존과 직결되는 필수식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졌다는 것이 당국의 설명이다. 당국은 필수식품 가격이 급등한 것과 관련해 정부정책의 실패를 공식적으로 인정했지만, 한편으로는 빈곤층 인구의 감소와 필수식품의 가격 상승을 연관 지으며 내심 러시아 경제의 탄탄한 기초체력을 과시하는 듯한 모습도 보이고 있다.
문의 : 모스크바지사 이목원(309724@gw.at.or.kr)
'[러시아]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 러시아 식품소비 동향' 저작물은 "공공누리 2유형 출처표시 + 상업적 이용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